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및 신청방법

요즘 100세 시대에 맞춰 많은 분들이 나이가 들면 신청할 수 있는 기초연금 또는 노령연금에 대해 소개해 드릴게요. 누구나 노년기에 접어들면 소득이 감소함으로 노년층에는 꼭 필요한 연금제도라고 보시면 됩니다. 따라서 오늘은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그리고 금액 신청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.

 

기초노령연금

기초노령연금이란

기초노령연금은 만 65세 이상이고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내에 거주하는 어르신 중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인 분들에게 지급하는 연금제도입니다.

   *부부 중 한 분만 신청하시는 경우도 부부가구에 해당됩니다.

구분 단독가구 부부가구
선정기준액 2,020,000 3,232,000
  • 소득인정액이란 월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월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금액을 말합니다.

소득인정액 산정방식

소득인정액 = 소득평가액 + 재산의 소득환산액

소득평가액 = [0.7 x (근로소득 - 108만 원)] + 기타 소득

소득평가액을 계산할 때, 근로소득과 기타소득이 필요합니다. 1차적으로 근로소득에서 기본공제인 108만 원을 공제한 금액에서 30%를 추가 공제합니다. 근로소득에서 일용근로소득, 공공일자리소득, 자활근로소득은 제외됩니다. 기타 소득은 사업소득, 재산소득, 공적이전소득, 무료임차소득이 포함됩니다.

소득인정액 모의계산 방법 : 복지로 접속 후 모의계산을 이용하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.(링크 연결)

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twatbz/mkclAsis/mkclInsertBspnPage.do

기초노령연금 모의계산

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

  • 만 65세 이상의 한국 국적을 가지고 있으며, 국내 거주 어르신
  • 대리인 신청도 가능 (배우자, 자녀, 형제자매, 친족, 사회복지 시설장 등 / 친족의 범위 : 8촌 이내의 혈족, 4촌 이내의 인척)
  • 재외국민 주민등록자는 기초연금 신청불가

기초연금 100% 수령할 수 있는 경우

  1. 국민연금 미수령자
  2. 국민연금 수령자이나 원 금액이 484,700원 이하인자
  3. 유족, 장애연금을 받는 경우
  4.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 또는 장애인연금 수령자

기초노령연금 신청방법

  • 온라인 : 복지로 홈페이지 접속 후 서비스 신청에서 로그인 후 온라인 신청 가능
  • 오프라인 :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전국 국민연금공단 지사를 직접 방문하여 신청
  • 만 65세 생일이 속하는 달의 1개월 전부터 신청, 접수 가능

https://www.bokjiro.go.kr/

 

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

 

www.bokjiro.go.kr

 신청시 제출 서류 : 신분증, 통장사본, 전/월세 계약서(해당자), 배우자금융정보등제공동동의서

기초노령연금 금액 

  • 매월 25일에 기준연금액(323,180원)과 국민연금 급여액 등을 고려하여 기초연금액을 지급
  • 기초연금액의 감액은 아래의 경우 이뤄집니다.

        * (부부감액) 본인과 그 배우자가 모두 기초연금 수급자인 경우에는 각각의 기초연금액에서 기초연금액의 20%를 감액

        * (소득역전방지 감액) 국민연금 동시 수령 시 수령액이 484,700원 이상이면 감액

2023년 기초연금 기준연금액(단독가구)은 전년도 소비자물가상승륭 5.1%를 반영하여 2022년 30만 7,500원에서 32만 3,180원으로 인상됩니다. 단독가구의 경우 323,180원, 부부가구의 경우 517,080원이 지급됩니다.

기초노령연금 단계적 인상 후 2027년 이내 소득 하위 70%인 노년층 대상으로 일괄 40만 원을 지금 하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합니다. 새 정부 임기가 끝나는 2027년 이내 40만 원까지 인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

 

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및 신청방법, 금액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이제는 노령인구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는 현시점에 100세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앞으로 제2의 인생을 맞이해야만 합니다. 따라서 제2의 인생을 조금 더 편안하고 부담 없이 살기 위해서는 노후준비를 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 오늘 소개해드린 기초노령연금에 대해서 정확하게 이해하고 알아두신다면 충분히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금제도입니다.

+ Recent posts